제목: 직무불일치가 직무만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공계 박사인력을 중심으로

저자: 김시정, 최상옥, 서윤교

본 연구는 직무-환경 적합성 이론 관점에서 이공계 박사급 인력을 대상으로 직무불일치가 직무만족도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공계 박사급 인력의 직무불일치는 전반적으로 직무만족도 및 성과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불일치 보다는 상대적으로 숙련불일치와 전공불일치 문제가 직무만족도 및 성과에 다양하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직무불일치와 직무만족도, 성과와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직무만족도의 매개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함의로서 과학기술 우수 인재가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개인이 지닌 자질과 학술적 지식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직무불일치 개념에 근거한 이공계 우수인력의 성과 제고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외재적 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적 보상구조와 더불어 연구자의 책임성, 자율성, 독립성 등을 확보할 수 있는 실질적 연구문화 및 시스템 조성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직무불일치, 직무만족도, 이공계 박사급 인력, 과학기술인력



The Effects of Job Mismatch on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job mismatch on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doctoral-level researchers in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job-environment fit theo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job mismatch of doctors in science and technolog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skill and subject mismatch on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utweighed those of education mismatch. In addition, there wer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job mismatch,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erived. First, it is necessary to support science and technology professionals based on the concept of job mismatch in order to maximize individual qualities and academic knowledge. Furthermore,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t is crucial to establish a fundamental reward structure for external satisfaction and foster a practical research culture and system that can secure researchers’ responsibilities, autonomy, and independence.

※ Key Words: job mismatch, job satisfaction, human resource in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