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공공성 연구의 풍경과 전망

저자: 임의영

이 글은 한국 학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공성 연구를 조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첫째, 공공성 연구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한국사회에 만연된 가족주의 및 연고주의, 개발독재의 유산, 반공주의, 신자유주의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둘째, 공공성의 개념과 관련하여 공과 사의 관계, 공적인 것의 속성들, 이념으로서 공공성의 개념화와 공공성의 유형화 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셋째, 공공성의 실현과 관련하여 ‘공-통-애(共-通-愛) 전략’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공-전략은 행위주체들이 다름을 인정하면서 함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모색하는 것이고, 통-전략은 과정적 측면에서 포용적인 참여와 토론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모색하는 것이며, 애-전략은 내용적 측면에서 책임을 공유하면서 정의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모색하는 것이다.

주제어: 공공성, 공론영역, 정치적인 것, 정의, 책임, 배려



Landscape and Prospect of Publicness Research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was to explore publicness research in Korean academia. First, the article examined the discussion of the necessity of the publicness research, focusing on familyism and nepotism, legacy of development dictatorship, anticommunism, and neoliberalism of Korean society. Secondly, the article examined the discussion of the concept of publicnes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the properties of the public, the conceptualization of publicness as idea, and the classification of publicness. Thirdly, the article focused on the discussion of 'commonness-communication-love' strategy in relation to the realization of publicness. The commonness strategy in an agent dimension is to seek conditions that enable actors to be able to join together in acknowledging the differences. The communication strategy in a process dimension is to seek conditions that allow inclusive participation and deliberation. The love strategy in a substantive dimension is to seek conditions that enable the realization of justice while sharing responsibility.

※ Keywords: publicness, public sphere, the political, justice, responsibility, welf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