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제도가 가구 내 부부의 노동시간 격차에 미친 영향



진우

금종예

본 연구는 2018년 도입된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제도가 맞벌이 부부의 초과근로시간 격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장시간 근로는 초과근로를 통해 발생하며, 전통적인 남성외벌이 가구 모형의 노동규범 체제에서 형성된 초과근로는 맞벌이 가구의 증가 후에도 남편과 아내의 근로시간 격차를 야기하는 주요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제도가 맞벌이 부부의 일ㆍ가정 사이 시간 갈등을 완화시키는 조건이 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노동패널 20∼22차 자료를 활용하여 이중차분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근로시간 단축제도가 맞벌이 임금근로자 부부의 주당 초과근로시간 격차를 약 2시간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근로시간 단축제도가 정책 대상자 개인의 노동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남편과 아내의 근로시간 차이를 감소시키는 가구 수준의 효과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근로시간 단축제도가 가구 내 부부의 근로시간 격차를 감소시킴으로써 향후 일ㆍ가정 시간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밝혔다는 의미가 있다. 


주제어: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제도, 맞벌이 부부, 근로시간 격차, 초과근로


Does the 52-hour workweek regulation reduce the inequality in working hours between husband and wife?

Jinwoo Lee & Jong-Ye Kum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52-hour workweek regulation on the inequality of working hours in dual-earner households. Long work hours driven by overtime are common, and they have adverse effects on employees and society. As a part of efforts to improve work-family balance for employees and society, the Korean government limited a working week to 52 hours in July 2018.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we adopt a difference-in-difference strategy to estimate the policy effects on the overtime gap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results show that the policy affects not only the employees who are working overtime but also dual-earner households, which allows them to reduce the weekly overtime gap between husband and wife by two hour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ssibility of work-family time conflict in dual-earner couples can be mitigated by implementing the working hour reduction policy.


※Keywords: 52-hour workweek regulation, dual-earner couple, inequality in working hours, over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