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행정학의 정체성 위기에 관한 연구 


이병량

이 연구는 그간의 한국 행정학 연구 성과 가운데 행정학의 정체성 위기 혹은 학문적 위기에 관한 논의를 분석하고 평가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 1960년대와 1970년대의 경우, 한국의 행정학이 수입 학문이라는 명확한 자각에 바탕을 두고 이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치열한 고민이 있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런 고민은 한국의 행정 현실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형성이 한국 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는 논의로 이어졌으며 그와 같은 기준에서 당시의 한국 행정학의 연구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이 진단되었다. 2000년대 이후 한국 행정학의 정체성 위기에 대한 논의는 응용학문으로서 행정학의 실용성에 대한 모색을 중심으로 새롭게 이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신공공관리론적 정부개혁을 통한 행정의 역할에 대한 재검토와 그간 한국의 행정학이 보여준 학문적ㆍ현실적 성과에 대한 비판적 평가에 기인한 것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이루어진 한국 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모색과는 일정하게 단절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한국 행정학이 학문 분과로서 본질적으로 지향해야 할 지점이 한국의 행정 현상에 대한 설명과 이를 바탕으로 한 인과이론의 형성이라는 점에 주목한 논의들도 여전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주제어: 한국 행정학, 정체성 위기, 이론형성, 인과이론, 연구경향분석

 

 



A Study on the Identity Crisis i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Byung Ryang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discussion on the identity crisis of public administration among the achievements of public administration studie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1960s and 1970s, there was a serious effort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based on a clear awareness that it was an imported study. These efforts led to the discussion that the formation of theory that can explain the administrative reality of Korea is an important criterion for establishing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Since the 2000s, the discussion on the identity crisis of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has shown a new trend, focusing on the search for the practicality of public administration as an applied study. This was because of the reexamination of the role of administration through government reform in the new public management theory, and critical evaluation of the academic and practical achievements of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Nonetheless, the discussions that emphasize two main directions that the studies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s an academic discipline should pursue continued: the explanation of the Korean administrative phenomena and the formation of a causal theory based on the reexamination.

 

Keyword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Identity Crisis, Formation of Theory, Causal Theory, Trend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