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개인이 인식하는 계층이동 상승 전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기존 연구가 주로 개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경제적 여건에 초점을 두었던 것과 달리, 이 연구는 개인의 사회적 관계와 거시적 변수를 포함해 계층이동 인식에 관한 이론적 범주를 확대하고자 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의 한국노동패널조사에 다양한 국가통계자료를 더하여 고정효과 순서형 로짓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사회인구학적 요인(학력, 배우자 유무), 객관적 경제 상황(소득, 자산, 근로 형태), 경제 상황에 대한 주관적 인식, 개인의 사회적 관계와 같은 미시적 요인과 사회 공정성 및 실업률 같은 거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개인의 계층 상승이동 인식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했다. 이는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한 인식의 형성을 이해하기 위해 관련 요인들의 범주를 확장하여 분석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계층 상승이동에 대한 기대감 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도 폭넓고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주제어: 계층이동 인식, 미시적 요인, 거시적 요인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s’ perceptions of upward mobility prospects. While prior studies have largely focu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conditions at the individual level, this study attempts to expand the theoretical framework by incorporating social relationships and macro-level factors. Using fixed-effect ordered logit analysis on data from the Korean Labor Panel Survey(2013-2022) supplemented with various national statistics, this study finds that individuals’ perceptions of upward mobility are shaped by a combination of micro-level factors—such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 marital status), objective economic conditions (income, assets, employment type), subjective economic perceptions, and social relationships—and macro-level factors including perceived social fairness and national unemployment rat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a more comprehensive analytical framework in mobility perceptions research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policy approaches to strengthen public confidence in upward mobility opportunities.


※Keywords: Perceived upward mobility, Micro factors, Macro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