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그림자 돌봄, 돌봄 더하기를 지나 돌봄주류화 단계로 진입했다. 돌봄주류화는 국가의 역할을 중심에 두고, 법, 정책, 제도의 변화를 통한 돌봄중심사회로의 전환을 꾀한다. 본 연구는 국가 중심의 정치로 돌봄중심사회로의 전환이 가능한가에 의문을 던진다. 신자유주의로 시장 논리가 국가의 공적 거버넌스에 침투하면서 국가 역할은 약화되었고, 가족과 인구 구조 변화로 새로운 돌봄요구가 등장하는 등 국가 중심의 공공성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에 한계가 나타난다. 이에 공공성의 담지자를 국가에서 시민으로 확장하는 정치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이를 위해 국가 역할은 시민사회와 연대하는 파트너 국가로 변화되어야 하고, 시민은 돌봄정치를 할 수 있는 돌봄인의 새로운 주체로 임파워되어야 한다.
주제어: 돌봄주류화, 돌봄과 시민사회, 돌봄 공공성, 돌봄윤리
Toward a Care-Centered Society:
Citizen-Centered Alternatives for Transforming Care Politics
South Korea has entered the stage of care mainstreaming, following the phases of shadow care and care-plus. Care mainstreaming seeks to transition toward a care-centered society by placing the role of the state at the center and advancing changes in laws, policies, and institutions. This study questions whether such a transition can be achieved solely through state-centered politics. Under neoliberalism, the logic of the market has infiltrated public governance, weakening the role of the state. At the same time, demographic changes and transformations in family structures have generated new care demands, revealing the limitations of relying exclusively on state-centered publicness. As an alternative, this study proposes expanding the bearer of publicness from the state to citizens. To this end, the role of the state must be reconfigured as a partner that works in solidarity with civil society, and citizens must be empowered as new political agents of care who are capable of engaging in care politics.
※Keywords: Care mainstreaming, Care and civil society, Publicness of care, Care eth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