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돌봄정책의 대안 논의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정책결정과정의 구조적 문제에 주목하고, 돌봄당사자가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기 위한 돌봄거버넌스의 구성 원칙과 정책 실천과제를 모색하였다. 먼저 돌봄윤리 관점을 기반으로 돌봄책임의 사회적 분배에 대한 공정성과 민주성을 확보하기 위한 거버넌스의 구성 원칙으로 ‘참여주체의 확장’과 ‘다차원적 참여 기반 조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돌봄정책 결정구조에 나타나는 참여 구조의 한계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네 가지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첫째, 정부위원회 구성·운영의 한계-민주적 참여기반 조성 과제, 둘째, 돌봄 공론화 부재-시민참여형 숙의 구조 구축 과제, 셋째, 미흡한 돌봄당사자 조직화-집합적 정치역량 강화 과제, 넷째, 지역 및 기관 기반 돌봄정책의 한계-다층적 거버넌스 구조 형성 과제이다. 본 연구는 돌봄정책의 내용 개선을 넘어서 정책결정과정 자체의 민주적 재구성을 통해 돌봄책임의 공정한 분배와 사회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 이론적⋅실천적 기반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주제어: 돌봄윤리, 돌봄거버넌스, 돌봄당사자 참여
A Structural Reconsideration of Care Govern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thics of Care:
Focusing on the Participation of Care Stakeholders in the Policy-Making Process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care policy-making process and proposes principles and practical tasks for establishing democratic care governance. Grounded in the ethics of care, the study highlights fairness in distributing care responsibilities and promoting democratic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It identifies two key principles: broadening the categories of participants and establishing multidimensional participatory structures. Building on these principles, the study investigates the limitations of Korea’s care policy-making system across four dimensions: (1) the shortcomings of government committees and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 restructuring; (2) the lack of public deliberation on care and the need for citizen-centered deliberative structures; (3) the insufficient organization among care stakeholders and the need to enhance collective political capacity; and (4) the constraints of local and institutional-level care politics and the need to create multi-level governance structures. By proposing a framework for restructuring both the content of care policy 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is study holds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Keywords: Ethics of care, Care governance, Stakeholder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