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자본주의 생산체제의 복합 위기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돌봄사회(국가)가 재조명되고 있다. 돌봄사회 건설의 핵심 주체인 노동조합이 돌봄 의제를 톺아보고 조망할 인식론적 자원이 불충분하여 돌봄자와 노동 현장을 노동윤리에 충분히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이 글은 노동조합에 새로운 저항적 노동윤리로 성평등 돌봄 가치가 배태된 노동윤리가 필요하며 그 이론적 자원을 페미니즘 돌봄윤리에서 찾고 있다. 특히 노동조합의 새로운 운동 규범이자 실천 전략으로 돌봄노동윤리를 탐색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돌봄노동윤리는 페미니즘 돌봄윤리가 기존의 노동윤리에 접합된 형태로 설명되고 있다. 자유주의적⋅공동체주의적 돌봄윤리와 달리 페미니즘 돌봄윤리는 저항성과 실천성을 속성으로 하는데, 두 속성은 노동조합의 노동윤리에서 본질적인 요소이기도 하다. 돌봄노동이 21세기 자본주의 사회경제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부상하면서 노동조합은 조직 안팎으로 전략적 변화를 모색하는 국면에 있다. 페미니즘 돌봄윤리는 저항성, 실천성에 이어 ‘상호의존적 관계에서의 연대’라는 인식론적 확장을 가능하게 하므로, 노동조합이 이전과는 결이 다른 운동 전략과 프로그램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노동조합이 시장과 가부장적 노동 현장의 대척점에서 조직 내부적으로나 대외 정치적 차원에서 성평등적인 민주적 실천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돌봄노동윤리를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페미니즘 돌봄윤리, 돌봄노동윤리, 저항성
Exploring Care Work Ethics as a Resistant and
Practical Norm within Labor Unions
This paper starts with the recognition that labor unions—crucial players in the development of a care society—lack the epistemological resources needed to thoroughly examine and advocate for the care agenda. Additionally, these unions have not sufficiently included care providers and workplaces in their labor ethics. The paper argues that labor unions require a new form of resistant labor ethics, one that is grounded in the value of gender-equal care, and seeks to establish this foundation through feminist ethics of care. It specifically introduces “care labor ethics” as a new normative framework and practical strategy for labor union movements. Care labor ethics is defined as the integration of feminist ethics of care into existing labor ethics. Unlike liberal or communitarian approaches, feminist ethics of care emphasizes resistance and practicality—qualities that are vital to labor union ethics as well. Feminist ethics of care, with its focus on resistance, practicality, and the expansion of epistemology toward “solidarity in relationships of interdependence,” enables labor unions to explore new movement strategies and programs.
※Keywords: Feminist ethics of care, Care labor ethics,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