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온라인 조사 자료를 사용해 광역자치단체의 승진⋅보직 인사관리가 공직 에토스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다. 인사관리의 경험적 유형을 관료제화, 전문화-시장화, 정치화로 구분하고 공직 에토스를 공직 신념, 공직 관행, 공익 차원으로 세분한 후 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인사관리의 영향은 공직 에토스의 각 차원에 따라 달랐다. 인사관리가 전문화-시장화될수록 타자 본위의 복무 동기를 반영하는 공직 신념에 주목할 만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인사관리가 관료제화 혹은 정치화될수록 공공 부문의 조직 과정과 절차의 고유성을 반대하였다. 인사관리의 관료제화와 정치화는 각각 공공 부문의 공익 지향성에 대한 지지를 높이지만 인사관리의 전문화-시장화는 영향이 없었다. 종합하면, 인사관리의 탈관료제화가 적어도 타자 본위의 복무 동기나 공공 부문의 공익 지향성을 훼손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인사관리가 관료제화될수록 공공 부문의 운영적 고유성에 대한 지지가 낮다는 역설적 결과는 근대 공무원제도에 의해 형성된 공직 관행의 에토스가 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방법론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탈관료제화 속에서 나타나는 인사관리와 공직 에토스 간의 관계가 역동적이고 복잡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공무원제도, 인사관리, 공직 에토스
Personnel Management Practices and
Public Service Ethos in Regional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personnel management practices on the public service ethos (PSE) at the sub-national government level, utilizing data from an online survey. We empirically identify three types of personnel management practices related to promotion and appointment: bureaucratization, professionalization-marketization, and politicization. We also distinguish among three dimensions of PSE: public service belief, public service practice, and public interest. We then examine the effects of personnel management practices on each dimension of PS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act of personnel management practices varies across these dimensions. Specifically, we find that professionalization-marketization positively impacts public service belief. Conversely, bureaucratization and politicization negatively affect public service practice. Another notable finding is that while bureaucratization and politicization positively influence public interest, professionalization-marketization has no discernible effect. Overall,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bureaucratization of personnel management practices does not undermine public service belief or public interest. However, the intriguing observation that bureaucratization reduces support for public service practice indicates that the PSE shaped by modern civil service systems is undergoing change. Despite data limit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nel management practices and PSE in the context of post-bureaucratic civil service reforms is dynamic, complex, and not straightforward.
※Keywords: Civil service systems, Personnel management, Public service ethos (P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