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연금개혁 위원회의 낮은 영향력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한국의 연금개혁에서 위원회는 왜 실질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Marier(2009)의 분석틀을 바탕으로 위원회의 유형과 영향력 결정 요인을 중심으로 비교사례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 대상은 독일, 핀란드, 미국의 주요 연금개혁 위원회와, 한국의 경사노위 연금특위(2018~2019) 및 국회 연금특위(2022~2024)이다. 분석 결과, 위원회의 임무 및 권한의 명확성, 위원 구성의 적정성 및 대표성, 그리고 위원회 권고의 실현 가능성이 위원회의 영향력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국의 연금개혁 위원회는 대체로 불명확한 과업 범위, 명확하지 않은 권한, 정치⋅사회적 지지 부족, 이해관계자의 구조적 대립 등으로 인해 ‘현상유지(status quo)’ 유형에 머물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한국 연금개혁에서 위원회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
주제어: 국민연금, 연금개혁 위원회, Marier 운영요인
Why do Pension Reforms Fail in Korea?:
Focusing on the Pension Reform Committee
This study begins by acknowledging the limited influence of the Korean Pension Reform Committee and seeks to answer the question, “Why do committees fail to exert substantial influence in Korea’s pension reform?” To explore this question, the paper utilizes Marier’s (2009) analytical framework and conducts a comparative case study of various commissions and the factors determining their influence. The analysis focuses on major pension reform committees in Germany, Finland, and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Korea’s Economic, Social and Labor Council’s Special Committee on Pensions (2018-2019) and the National Assembly’s Special Committee on Pension Reform (2022-2024). It identifies three key factors that shape the influence of reform commissions: the clarity of their mandate and authority, the appropriateness and representativeness of their composition, and the feasibility of their recommendations. The Korean pension reform committees largely remained in a ‘status quo’ position due to an excessive or unclear scope of tasks, vague authority, insufficient political and social support, and structural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offers policy implications aimed at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committees in future Korean pension reforms.
※Keywords: National pension, Pension Reform Commission, Marier’s Determinants of
Commission Influ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