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재난관리체계는 중앙 집중적 운영으로 인하여 지역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현장의 전문 역량도 제약을 받는 등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가치 기반의 통합 접근을 바탕으로 지역 현장 중심 재난관리를 위한 개념적 분석 도구인 REGIONAL 모델을 제안한다. REGIONAL 모델은 회복력, 효율성, 거버넌스, 포용성, 협력과 조정, 신기술 기반, 민첩성, 현장성 등 8개 가치 영역을 중심으로, 4개 기능적 층위와 4단계 발전 과정을 통하여 지역 맞춤형 진단과 정책 설계를 지원한다. 이 모델은 중앙 집중적 의사결정과 획일적 대응의 한계를 구조적으로 극복하고, 지역 주도 거버넌스와 현장 중심 대응으로의 전환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한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안전과 회복력 강화를 위한 정책 설계 기반을 제공함과 동시에, 국가안전시스템 개편에 있어 참조 가능한 이론적 틀을 제시한다. REGIONAL 모델의 실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증 연구와 정책 현장 적용을 통한 효과성 분석은 향후 주요 과제로 제안된다.
주제어: 지역 현장 중심, 재난관리 패러다임, REGIONAL 모델
Paradigm Shift toward Local Field-Oriented Disaster Management:
Theoretical Construction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REGIONAL Model
The current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reveals structural limitations due to centralized operations, which include inadequate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and constraints on the capacity of frontline professionals. In response, this study proposes the REGIONAL model as a conceptual analytical tool for local, field-oriented disaster management, grounded in an integrated approach to public values. The REGIONAL model comprises eight value domains—resilience, efficiency, governance, inclusiveness,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technological foundation, agility, and field responsiveness—and incorporates four functional layers along with a four-phase developmental trajectory to facilitate region-specific diagnosis and policy design. This model is designed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centralized decision-making and uniform responses, providing theoretical support for a shift towards locally led governance and context-specific response systems. This study offers both an analytical foundation for enhancing community safety and resilience and a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the redesign of the national safety system.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empirically validating the model and assessing its effectiveness through application in real-world policy environments.
※Keywords: Local field-oriented approach, Disaster management paradigm, REGIONAL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