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행복 증진을 위한 탐색적 연구:

조직적ㆍ제도적 차원의 관리를 중심으로*

 

 

김다은, 김서용

우리나라에서 공무원은 정년 보장이라는 높은 안정성으로 인해 선호도가 높지만, 정작 공무원의 삶은 높은 업무강도와 스트레스, 그리고 민간부문에 비해 낮은 급여와 복지 수준으로 인해 쉽지 않다. 그러나 국민의 행복을 위해 봉사하는 공무원 역시 스스로 행복할 권리가 있다. 공무원의 행복 증진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상향확산 이론을 바탕으로 삶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직업 생활영역이 전반적인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분석결과, 조직적 차원에서 관리하는 업무환경, 업무자원, 업무자율성과 제도적으로 관리하는 급여, 후생복지, 일과 가정 조화의 만족도 증가는 행복도에 긍정적으로 응답할 확률을 증가시켰다. 직급의 조절효과는 일과 가정 조화 변수에서만 유의하여 관리직급에서 일과 가정 조화 지원제도의 만족도가 행복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나타낸다. 공무원의 행복을 보장하기 위해 정부는 먼저 이들의 수요와 만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사관리 제도의 유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공무원 행복, 공무원 인사제도, 제도적 관리, 조직적 관리

 


An Exploratory Study on Promoting the Happiness of Public Officials

Daeun Kim & Seoyong Kim

In Korea, serving as a public official is one of the most preferred occupations because of the highly stable nature of the job. However, life as a public official is not easy because of the low pay and welfare levels compared to the private sector, while the work intensity and stress levels are hig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enhancing the happiness of public officials. Based on the bottom-up spillover theory of happiness, we assume that the work life impacts the overall happiness of life. The ordered logit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relative to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factors. Excluding the workload, increased satisfaction with most variables (work environment, work resources, work autonomy and salary, welfare, and work-family harmonization) had positive impact on the response to higher levels of happiness. The moderating effect of rank was only significant with the work-family harmonization variables, indicating that the satisfaction of work-family harmonization in the management position has a greater impact on happiness. These analytic results suggest that public personnel management systems must be redesigned with more flexibility to meet the individual needs of public officials.

 

Key Words: happiness of public official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institutional management, organizational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