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및 진보 정부 시기별 정부예산에 관한
사회적 인식과 언론의 프레임 비교 분석

 

이재무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한 사회적 인식과 언론의 뉴스기사 속 프레임 사이의 차이 여부, 집권 정부의 지향 이념에 따른 양상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에 보수적인 박근혜 정부, 진보적인 문재인 정부 각 시기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자료를 추출하여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박근혜 정부 시기 SNS에서는 간접적 영역에 대한 관심, 부정감성어 선호 등의 특성이 파악되었고, 처우 개선과 효율성 지향에 긍정감성어, 부적절한 처리과정과 태도 비판, 거부감 표현에 부정감성어가 각각 사용되었다. 언론에서는 정치적 행위자와 예산 처리 과정에 집중, 부정감성어 선호 등의 특성이 파악되었고, 처우 개선과 합리성 지향에 긍정감성어, 부적절한 처리과정과 태도, 처리결과에 대한 비판에 부정감성어가 각각 사용되었다. 반면, 문재인 정부 시기 SNS에서는 정부예산에 관한 민감한 반응, 간접적 영역에 대한 관심, 부정감성어 선호 등이 특징으로 확인되었고, 당위성 지향에 긍정감성어, 불법적 행위, 예산 처리 과정과 결과에 대한 비판에 부정감성어가 각각 활용되었다. 언론에서는 정치적 행위자와 예산 처리 과정에 집중, 긍정감성어 선호 등이 특징으로 확인되었고, 일부 관계자의 태도 평가, 효율성 지향에 긍정감성어, 불법적 행위, 일부 관계자의 태도 비판에 부정감성어가 활용되었다.

 

주제어: 사회적 인식, 언론 프레임, 정부예산



Comparison of Social Awareness and Media Frames on the Government Budget during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Governments

Jae Moo Le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ocial perception centered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and the frame of news articles in the media and whether they differ according to the ideology of the ruling government. By text mining using big data, we found that mainly negative emotional words were preferred in SNS during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positive emotional words were used for efficiency, and negative emotional words were used to express rejection. In the media, we identified a preference for negative sentiment words, positive sentiment words were used for rationality, and negative sentiment words were used for various kinds of criticism. On the other hand, SNS during the Moon Jae-in government mainly preferred negative emotional words, positive emotional words for justification, and negative emotional words for various kinds of criticism. In the media, we identified a preference for positive sentiment words, which were used for efficiency, and negative sentiment words were used for various kinds of criticism.

 

Keywords: Social Awareness, Media, Framing, Government Budget, Text M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