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자치단체 여성 공무원 대표성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이원형, 조정래
여성 공무원 대표성은 꾸준히 확대되어 왔지만 아직도 지역, 기관, 직렬 등에 따라 편차가 큰 상황이다. 본 연구는 여성 공무원 대표성이 기초자치단체별로 상이하다는 데 착안하여 대표성의 현황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초자치단체별 여성 공무원 비율 현황을 살펴본 결과, 특별⋅광역시 소속 자치구의 여성 비율은 대체로 높은 반면 군(郡)이나 도서(島嶼) 지역의 여성 비율은 대체적으로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기초자치단체의 여성 공무원 대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기 위해 종속변수로 여성 공무원 대표성 지수를 사용하고, 독립변수로는 지역환경 특성(남성 다수 산업 종사자 비율, 어린이집 수용률, 사설학원 수)과 기관 특성(남성 위주 직렬 비율, 읍면동 소속 공무원 비율), 지역 인적자원 특성(대졸 이상 여성 비율,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여성 상용근로자 비율)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환경 특성에서는 남성 다수 산업 종사자 비율, 기관 특성에서는 남성 위주 직렬 비율, 지역 인적자원 특성에서는 대졸 이상 여성 비율이 여성 공무원 대표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주제어: 기술적 대표성, 대표관료제, 여성 공무원, 여성 공무원 대표성, 지방자치단체 |
The Determinants of Female Official Representation in Local Governments
Won-Hyung Lee & Chung-Lae Cho
Despite the steady improvement in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public officials, significant disparities remain across regions, institutions, and job categor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female public official representat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it, with a focus on the variations across local governments. An examination of the proportion of female public officials by local government revealed that the proportion of female public official is generally higher in districts affiliated with special and metropolitan cities, whereas it is generally lower in counties and island region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representation, this study utilized the representation index of female public officials as the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region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proportion of male-dominated industry workers, daycare center acceptance rates, number of private academie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proportion of male-dominated job categories, proportion of public officials in towns and villages), and regional human resource characteristics (proportion of female population with a college degree or higher,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proportion of female regular worker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region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proportion of male-dominated industry workers, among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he proportion of public officials in male-dominated job categories, and among regional human resource characteristics, the proportion of female population with a college degree or highe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public officials. ※Keywords: Descriptive representation, Representative bureaucracy, Female public officials, Representation of female public officials, Local government |